[독서] 만약 고교 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http://www.yes24.com/24/Goods/5113518


118p. 사람을 매니지먼트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장점을 살리는 일이다. 사람은 약하다. 가련하리만치 약하다. 그래서 문제를 일으킨다. 절차와 여러 가지 잡무를 필요로 한다. 조직의 측면에서 보면 사람이란 비용이자 위협요소이기도 하다. 하지만 일부러 비용을 부담하거나 위협을 감당하려고 사람을 쓰지는 않는다. 누군가를 고용하는 까닭은 그 사람이 지닌 장점이나 능력 때문이다. 조직의 목적은 사람의 장점을 생산으로 연결하고, 그 사람의 약점을 중화시키는 것이다.

119p. 사람이 최대의 자산이다.

137p. 미나미는 야구부 부원 모두에게 이런 담당 분야를 배정했다. 그리고 반드시 '생산적인 일'로 연결되도록 신경 썼다. '내가 맡은 일이 조직의 성과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지 못하면 일하는 보람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사실을 피부로 느끼도록 만들기 위한 정보 피드백도 빼놓지 않았다. 

184p. 호도고의 수빈 수준을 남은 3개월간 고시엔 대회에 출전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는 무리였다. 실책은 어차피 나오게 되어 있었다. (중량) 감독과 아야노는 '실책을 두려워하지 않기'가 호도고의 고시엔 대회 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될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실책을 두려워하지 않기' 연습을 철저하게 반복하기로 했던 것이다.

211p. 이 인사는 야구부에 두 가지 메시지를 던졌다. 하나는 매니지먼트가 추구하는 것이 반드시 '야구를 잘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또 하나는 성과를 거두면 매니지먼트는 그에 대해 확실하게 보답한다는 것이었다.

258p. "어떤 야구를 보고 싶으신데요?" "우리는 여러분이 어떤 야구를 보고 싶은 건지 알고 싶어요. 왜냐하면 여러분이 보고 싶어 하는 야구를 하고 싶기 때문이죠. 우리는 고객으로부터 출발하고 싶습니다. 고객이 가치를 인정하고, 필요로 하며, 추구하는 것으로부터 야구를 시작하고 싶은 겁니다."

일단 책의 표지를 보고 너무 걱정은 하지 말자. 그렇다고 책 표지를 벗기지 않고, 당당하게 커피숍 같은 외부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읽고 있으면, 다소 오해를 받을 수 있으니, 표지를 빼고 읽는 것을 추천한다. 

피터 드러커의 매니지먼트라는 유명한 경영 서적을 일본의 고교 야구 매니저가 야구팀에 적용하면서 야구팀을 발전시켜 나간다는 이야기다. 책의 중간중간에 매니지먼트 책의 인용구가 자주 등장하는데, 책의 스토리보다는 확실히 인용구가 등장할 때마다 마음에 와닿았다. 상대적으로 작은 기업인 스타트업에서도 흔히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라는 얘기를 많이 하는데, 미국 대기업 경영자도 "사람이 최대의 자산이다"라고 평가하는 부분도 인상적이었고, 일하는 본인의 성과가 회사의 성과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점도 공감을 많이 했다. 책을 읽으면서 피터 드러커의 조언들을 고교 야구부에 적용을 시키는 에피소드가 나올 때마다, 스타트업에서는 어떻게 대입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해 보았다. 

의외로 쉽게 연결이 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책과는 다르게, 막상 적용하기 난감한 부분도 많은 것 같다. 예를 들어, 구성원들의 "실수(실책)를 두려워하지 않기"를 극복하기 위해 야구부는 전진 수비를 한다는 간단한 해결책을 제시했지만, 회사에서 적용하는 걸 생각해 보면 쉽지 않다. 애드 캣멀의 "창의성을 지휘하라"라는 책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왔던 걸로 기억하는데, 구성원들이 실수할까 두려워 복지 부동하게 만들기보다는 실수 혹은 실패를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투자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기업문화가 갖춰져야 한다. 그런데 매니저 혹은 경영진의 입장에서 보면, 어느 정도의 실수 혹은 실패까지 용납해야 할지 선을 긋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 문제다. 어느 정도의 실수는 용인되어야 하지만, 회사의 존립에까지 영향을 주는 큰 실수까지 허용을 해야할까?

또한 노력보다는 성과가 중요하다는 드러커의 생각도 고민을 많이 하게 만든다. 회사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성과'가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어야 한다. 다들 열심히 노력했지만, 결국 성과가 쌓이지 못하면 회사는 망하니까. 하지만 막상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죽도록 고생한 동료들에게 외부 변수 혹은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프로젝트가 성공하지 못했을 때, 그 동료들에게 '성과'의 칼날을 들이대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성과'만 따지기 시작하면, 상대적으로 '성과'를 내기 쉬운 프로젝트에만 사람들이 몰리고, 아예 새로 시작되는 위험성이 높아 보이는, 그러나 회사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신규 프로젝트에 누가 손을 들고 나설 수 있을까? 이것도 어려운 문제인 것 같다.

재미없는 이야기를 잔뜩 했는데, 책의 결말에서 마지막에 호도고 학생들이 멋지게 결승 승리를 이뤄냈을 때, 눈물이 찔끔 난 걸 보면 아직 나의 감성도 완전히 메마르지 않은 것 같아서 다행스러웠다. 흐흐..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